일반적으로 파노라마 촬영을 할 경우에 특정한 뷰 포인트를 유지하여 촬영하지 않으면 패럴랙스 현상이 발생하여
프로그램상에서 파노라마를 붙이기 어렵습니다. 특히 풀 스피어리컬 파노라마 촬영은 패럴랙스 현상에 대한 관용도가 작아서
거의 붙일 수 없는 상태가 되거나 붙이더라도 각 이미지가 틀어진 상태로 붙여져 이중상이 많이 생기게 됩니다.
이러한 특정 뷰 포인트를 노-패럴랙스 포인트(흔히 노달 포인트라고도 함)라 합니다.
패럴랙스 현상
파노라마 촬영시 뷰 포인트를 이동하여 촬영하게 되면 각 피사체간에 시각적 오차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시각적 오차를
패럴랙스 현상이라 합니다. 패럴랙스 현상은 피사체가 카메라에 가까이 있을 수록 더욱 심하게 발생합니다.
패럴랙스 현상에 대한 개념은 다음과 같은 테스트로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1. 팔을 앞으로 쭉 뻗어 검지손가락으로 어느 한 곳을 가르킵니다.
● 2. 한쪽 눈을 감고 검지손가락이 가리키는 위치를 기억해 둡니다.
● 3. 반대쪽 눈을 감고 검지손가락이 가리키는 위치를 이전 위치와 비교해 봅니다.
● 4. 검지손가락이 가르키는 위치가 서로 틀리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테스트해보면 카메라(눈)의 뷰 포인트를 이동해서 촬영하면 근경 피사체(검지손가락)와 원경 피사체(가르키는 위치)의
시각적 관계가 일치하지 않음으로, 이렇게 촬영된 이미지는 하나의 이미지로 붙이기 힘들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다음 사진은 패럴렉스 현상의 한 예를 보여줍니다:
노-패럴랙스 포인트(no-parallax point)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카메라 렌즈에는 파노라마 촬영시 위에 설명한 패럴랙스 현상을 피할 수 있는 특정 포인트가 있습니다.
이러한 포인트를 노-패럴랙스 포인트라고 하며 렌즈군 사이에 존재하는 일종의 가상 조리개인 입측동공(entrance pupil)의
중앙부 입니다. 많은 파노라마 유저들이 이 포인트를 노달 포인트(nodal-point)라 부르고 있으나 이는 잘못 사용된 용어 입니다.
렌즈에서 말하는 노달포인트는 실질적으로 패럴랙스 현상과는 상관이 없는 렌스상의 특정 위치입니다.
파노라마 촬영시에는 노-패럴랙스 포인트를 축으로 카메라를 회전시켜 촬영하여만 사진끼리 서로 이어 붙일 수 있습니다.
특히 카메라 가까이에 피사체들이 있다면 노-패럴랙스 포인트를 정확히 유지하여 촬영해야하기 때문에 파노라마 헤드라는 장비를
트라이포드에 장착하여 촬영해야 합니다.
노-패럴랙스 포인트는 통상 렌즈의 전면부에 있으며 렌즈의 광축과 일직선상에 있습니다. 또한 렌즈마다 위치가 틀리고 일반적으로
트라이포드의 마운트 중심에서 완전히 벗어나 있기때문에 파노라마 헤드라는 전용장비를 사용해야 합니다.
아래 그림은 렌즈의 광축선상에서 패럴랙스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수평/수직축 교차점을 보여주고 있으며, 바로 이 교차점이
노-패럴랙스 포인트에 해당합니다. 렌즈의 화각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파노라마를 촬영합니다.
노-패럴랙스 포인트(no-parallax point) 찾기
노-패럴랙스 포인트를 찾기위해서는 회전하여 촬영시 패럴랙스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 수평(또는 수직) 회전축과 렌즈의 광축이
교차하는 지점을 찾아야 합니다.
● 렌즈의 광축 찾기
렌즈의 광축은 렌즈를 통하여 빛이 들어오는 중심점입니다. 그러므로 이 위치를 찾기 위해서는 그림과 같이 카메라를 아래방향으로
90도 세워서 파노라마 헤드의 각도기 마운트 부분을 촬영합니다. 각도기의 중앙이 정확하게 사진의 중앙과 일치해야 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디지털 카메라는 렌즈의 광축과 CCD 센서의 중앙부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사진상에서 정확한 렌즈의
광축을 찾기란 쉽지 않습니다).
1. 카메라의 노출 모드를 수동(M) 모드로 설정합니다.
2. 파노라마 촬영에 적합한 심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조리개를 f-8 이상으로 설정후 노출을 맞춥니다.
3. 파노라마 헤드의 윙 잠금장치를 풀고 수직으로 회전시켜 카메라를 -90도 바닥으로 향하게한 후 잠급니다.
4. 촛점을 맞춘후 촬영합니다.
5. 다음 그림처럼 촬영한 사진의 중앙이 파노라마 헤드의 각도기 중앙부에서 위쪽으로 치우쳐 있다면 베이스 마운트를 풀어
바디부분을 뒤로 조금 이동시킨 후 잠급니다.
6. 다음 그림처럼 촬영한 사진의 중앙이 파노라마 헤드의 각도기 중앙부에서 아래쪽으로 치우쳐 있다면 베이스 마운트를 풀어
바디부분을 앞으로 조금 이동시킨 후 잠급니다.
7. 다음 그림처럼 촬영한 사진의 중앙이 파노라마 헤드의 각도기 중앙부에서 왼쪽으로 치우쳐 있다면 윙의 퀵슈 잠금장치를 풀어
카메라를 우측으로 조금 이동시킨 후 잠급니다.
8. 다음 그림처럼 촬영한 사진의 중앙이 파노라마 헤드의 각도기 중앙부에서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다면 윙의 퀵슈 잠금장치를 풀어
카메라를 왼쪽으로 조금 이동시킨 후 잠급니다.
촬영한 사진의 중앙이 파노라마 헤드의 각도기 중앙부와 정확히 일치하도록 5~8 단계를 반복하여 테스트 촬영합니다.
● 노-패럴랙스 포인트 찾기
위와 같은 방법으로 테스트 촬영하여 렌즈의 광축을 찾아 파노라마헤드의 윙 잠금장치와 베이스 마운트를 고정하였으면 이제는
렌즈의 광축선상에 있는 노-패럴랙스 포인트를 찾을 차례입니다. 다음과 같이 테스트 촬영 준비를 합니다.
1. 트라이포드의 볼헤드를 조정하여 파노라마 헤드가 지평면에서 수평이 되게 고정합니다.
2. 파노라마 헤드 윙을 0도로 고정하여 렌즈의 광축이 지평선과 일치하도록 합니다.
3. 렌즈의 중심에서 50cm 내외에 첫번째 기준 막대를 세웁니다.
4. 첫번째 기준 막대로부터 십여미터 이상 뒤에 두번째 기준 막대를 세웁니다
(두 막대간 거리차이가 많이 날수록 좀더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습니다).
5. 렌즈의 중심과 두 기준 막대는 거의 일직선상에 있어야 합니다
(카메라의 뷰파인더를 통하여 보았을 경우 두 막대 사이에 약간의 틈이 보일정도).
6. 노출 모드를 수동(M)으로 설정하고 조리개를 최대한 닫아서 심도를 깊게한 후 노출을 맞춥니다.
7. 포커스는 두번째 기준막대에 맞춘후 고정합니다.
촬영 준비를 모두 마친 모습입니다. 이 상태에서 촬영을 하면 우측하단 이미지와 같이 사진이 찍혀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카메라를 회전시켜가면서 본격적인 테스트 촬영을 합니다(위에서 본 모습입니다).
8. 파노라마 헤드의 각도기를 좌측으로 회전시켜 카메라의 뷰 파인더를 통하여 그림과 같이 기준 막대들이 보이도록 위치시킨
다음 촬영합니다. 촬영된 사진이 우측 하단의 이미지처럼 두 기준 막대기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촬영된 사진이 다음 그림과 같이 두 기준 막대기의 간격이 벌어져 있다면 파노라마 헤드 윙의 마운트를 풀어 카메라를 앞으로 조금
이동시킨 후 잠급니다. 두 막대기의 간격이 좁게 촬영되었다면 반대로 카메라를 뒤로 조금 이동시킨 후 잠급니다.
9. 파노라마 헤드의 각도기를 우측으로 회전시켜 카메라의 뷰 파인더를 통하여 그림과 같이 기준 막대들이 보이도록 위치시킨 다음
촬영합니다. 촬영된 사진이 우측 하단의 이미지처럼 두 기준 막대기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촬영된 사진이 다음 그림과 같이 두 기준 막대기의 간격이 벌어져 있다면 파노라마 헤드 윙의 마운트를 풀어 카메라를 뒤로 조금
이동시킨 후 잠급니다. 두 막대기의 간격이 좁게 촬영되었다면 반대로 카메라를 앞으로 조금 이동시킨 후 잠급니다.
촬영한 사진의 두 막대기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촬영될 때까지 8~9 단계를 반복하여 테스트 촬영을 합니다.
● 수직 회전축을 이용하여 노-패럴랙스 포인트 찾기
노-패럴랙스 포인트는 다음 방법과 같이 렌즈의 넓은 영역(세로사진)쪽으로 수직 회전시켜 찾아낼 수도 있습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렌즈의 영역을 좀더 넓게 테스트 할 수 있기때문에 테스트 조건이 좋아질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앞에 설명한 방법으로도 충분함으로 이 방법은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1. 다음 그림과 같이 촬영준비를 합니다(방향만 틀릴뿐 모든 조건은 첫번째 방법과 동일합니다).
촬영 준비를 모두 마친 모습입니다. 이 상태에서 촬영을 하면 우측하단 이미지와 같이 사진이 찍혀야 합니다.
다음과 같이 카메라를 회전시켜가면서 본격적인 테스트 촬영을 합니다(측면에서 본 모습입니다).
2. 파노라마 헤드의 윙 잠금장치를 풀고 카메라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켜 렌즈가 위로 향하게 한 다음 잠금후 촬영합니다.
촬영된 사진이 우측 하단 이미지처럼 기준 막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3. 파노라마 헤드의 윙 잠금장치를 풀고 카메라를 위 방향으로 회전시켜 렌즈가 아래로 향하게 한 다음 잠금후 촬영합니다.
촬영된 사진이 우측 하단 이미지처럼 기준 막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촬영한 사진의 두 기준 막대기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촬영될 때까지 8~9 단계를 반복하여 테스트 촬영을 합니다.
맺음 말
일반적으로 패럴랙스 현상이 전혀 나타나지 않게 파노라마 촬영(특히 풀 스피어리컬 파노라마)을 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정확한 노-패럴랙스 포인트를 찾는 것도 불가능하지만, 찾았다 하더라도 카메라를 회전시켜 촬영하는 과정에서 파노라마 헤드의
유격이나 트라이포드의 흔들림 등과 같은 요인으로 초기 뷰 포인트가 틀어지게 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와 같은 방법으로
노-패럴랙스 포인트를 찾는 이유는 파노라마 스티칭 프로그램의 스티칭 과정에서 패럴랙스 현상을 교정할 수 있는 한도 범위를
좁히기 위해서 입니다. 파노라마 스티칭 프로그램은 패럴랙스 현상이 전혀 없는 일련의 사진들을 스티칭하는 것이 아니라
패럴랙스 현상이 있는 사진들을 스티칭 프로세싱을 거쳐서 가능한한 모든 패럴랙스 현상을 교정하여 스티칭하는 것입니다.
이때 스티칭 프로그램의 교정 한도를 넘어가게 되는 이미지는 겹치는 모습 그대로 잔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패럴랙스 현상은 카메라와 가까운 물체가 많은 실내촬영시에 심하게 나타나며 상대적으로 물체가 멀리 떨어져 있는
실외 촬영시에는 패럴랙스 현상이 감소합니다. 특히 거의 모든 물체가 평면적으로 보이는 항공 파노라인 경우에는
패럴랙스 현상이 매우 약해서 논-패럴랙스 포인트에 대한 관용도가 매우 높습니다.
● 항공 파노라마 헤드
HDVR Panorama